odigital

"정치 불확실성 지속 시 환율 급등 우려…정책 대응 필요"
기사 작성일 : 2025-02-02 13:00:18

딜링룸


[ 자료사진]

민선희 기자 = 정치적 불확실성이 확대·지속되면 원/달러 환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변동성도 높아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일 '최근 원/달러 환율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환율 흐름을 분석하고 이같이 밝혔다.

장 선임연구위원은 정치적 불확실성이 일시적으로 환율 급등을 초래하거나 변동성을 확대하는 요인이지만, 기조적인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고 판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이후 지난달 20일까지 3.5% 상승했다.

그러나 지난해 비상계엄 이전까지 10% 가까이 상승하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환율 상승의 기저에는 내수 부진과 내외금리차 등 경제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초저금리 정책을 지속하는 일본의 엔화가 지난해 12월 이후 원화보다 더 절하됐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실제로 2017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정국 불안 과정에서도 환율 상승 폭은 크지 않았으며 국회의 탄핵 소추 이후 오히려 하락했다.

당시 민간 소비 개선 흐름이 이어지고 수출 증가세가 확대되는 등 경기가 호조세를 지속한 영향이다.

다만 장 선임연구위원은 "2017년과 달리 정치적 불확실성이 확대·지속되면 해외 신인도 저하, 경제 심리 위축,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을 통해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확대되고 우리 경제의 취약성 노출, 경제 기반의 훼손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경우 정치적 불확실성과 경기 부진이 상승작용을 일으켜 원/달러 환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변동성도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장 선임연구위원은 "적극적인 정책 대응을 통해 경제 심리 위축을 방지하고 금융시장 안정과 내수 회복 등 경제기반을 강화함으로써 정치 불확실성이 경제 불확실성으로 전이될 가능성을 최대한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