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관세폭풍에 미국서 금속 확보전…구리·알루미늄·철강 가격 급등
기사 작성일 : 2025-02-11 11:01:00

미국의 한 건설 현장


[AFP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주종국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언한 관세 부과 시행을 앞두고 구리와 알루미늄, 철강 등 미국 시장의 금속 가격이 빠르게 오르고 있다.

미국 내 트레이더들이 관세 발효 전에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전례 없는 프리미엄을 지불하면서 생긴 현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예고한 대로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를 공식 발표했다. 앞서 수입 구리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이날 뉴욕 상품거래소(COMEX)의 구리 선물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2% 상승해 t당 1만 달러를 넘어섰다. 런던 가격보다 t당 800달러 이상 비싼 수준이다. 뉴욕과 런던시장 간 가격 차는 2020년 초 이후 최고 수준으로 벌어졌다.

판무레 리베럼의 톰 프라이스 애널리스트는 "미국 시장 가격이 높은 것은 왜곡된 시장을 반영한 것으로 '수요 증가'보다는 '공급 부족' 우려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금속 공급처를 단시일 내에 다른 곳으로 바꿀 수 없다. 알루미늄이 특히 그렇다. 구매자들은 금속을 확보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원자재 중개업체 석덴 파이낸셜의 다리아 에파노바 리서치팀장은 "미국의 가격 상승은 향후 관세로 인해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을 반영한 것"이라면서 "시장에서는 실제로 관세가 부과되기 전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행정명령 서명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 알루미늄 시장도 들썩이고 있다.

CME 그룹 자료에 따르면 3월물 알루미늄 선물가격에서 미드웨스트 프리미엄(Midwest Premium)은 파운드당 30센트로 전 거래일 대비 거의 10% 상승했다.

미드웨스트 프리미엄은 미국 중서부 지역의 금속제품 가격이 런던 등 다른 지역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미국은 알루미늄 수요의 약 8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캐나다는 미국의 가장 큰 정제 알루미늄 공급국이다.

JP모건은 "미국의 알루미늄 재고가 일시적인 공급 경색에 대한 단기적인 '완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면서도 "모든 국가에 관세가 부과되면 재고는 더 빨리 소진되므로 미국 미드웨스트 프리미엄은 지금보다 더 뛰어 파운드당 40센트가 넘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마렉스의 알 먼로 애널리스트는 "불확실성이 불안감을 조성하며 이는 투자 부족을 초래한다. 사람들은 가만히 앉아서 아무것도 안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