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hoto.odigital.co.kr/photo/2025/02/12/2025021212164617393302065913.jpg)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한국도 영향권
(평택= 김도훈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관세 25% 부과를 공식 발표한 11일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다. 한국은 2018년 트럼프 1기 때 협상을 통해 대미 철강 수출 제품 263만t 물량에 대해 무(無)관세를 적용받아왔다. 하지만 미정부가 관세를 단순화해 예외나 면제 없이 25%를 일괄 적용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그동안 수출량 제한 조건으로 면제받던 한국산 철강 제품도 25% 관세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2025.2.11
이슬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전방위적인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에 나서면서 중국산 저가 철강 제품의 미국 외 시장 유입 우려가 한층 커지고 있다.
국내 철강 업계는 이미 중국발 공급 과잉과 글로벌 수요 둔화로 인해 장기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의 고율 관세 조치까지 겹치면서, 중국산 제품이 한국을 비롯한 타국 시장으로 대거 유입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업계에서는 트럼프 2기 보호무역주의 강화 속에서 국내 시장을 위협해온 중국산 저가 공세에 대해 정부가 반덤핑 조치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2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국내 2위 철강 업체인 현대제철[004020]은 지난해 7월 중국산 후판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에 반덤핑 제소를 했고, 무역위는 같은 해 10월 반덤핑 조사 개시에 들어갔다.
현대제철은 중국산·일본산 열연강판에 대해서도 지난해 12월 반덤핑 제소를 한 상태다.
업계 안팎에서는 당초 후판 반덤핑 예비판정이 다음 달께 나올 것으로 예상했지만,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각종 관세 조치가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이르면 이달 중 나올 것으로 전망한다.
열연강판 조사 개시 여부는 다음 달께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현대제철은 건설용 자재로 사용되는 중국산 H형강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연장 심사를 내년에 요청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산 H형강의 경우 반덤핑 피해가 인정돼 2016년부터 연간 58만t까지는 무관세로 수입되지만, 이를 초과하는 물량에 대해서는 32.7%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중국산 스테인리스스틸 후판에 대해서는 지난달 무역위가 덤핑 수입으로 인한 국내 산업 피해가 존재한다고 보고, 21.62%의 잠정 덤핑 방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http://photo.odigital.co.kr/photo/2025/02/12/2025021212164817393302082572.jpg)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한국도 영향권
(평택= 김도훈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관세 25% 부과를 공식 발표한 11일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다. 한국은 2018년 트럼프 1기 때 협상을 통해 대미 철강 수출 제품 263만t 물량에 대해 무(無)관세를 적용받아왔다. 하지만 미정부가 관세를 단순화해 예외나 면제 없이 25%를 일괄 적용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그동안 수출량 제한 조건으로 면제받던 한국산 철강 제품도 25% 관세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2025.2.11
국내 1위 철강사인 포스코는 현대제철과 같이 중국산 반덤핑 제소에 적극적이지 않지만, 중국산 저가 공세에 신음하기는 마찬가지다.
최근 국내 건설 경기 등이 부진하면서 철강 수요가 쪼그라들었지만, 저가 중국산 제품의 수입량은 오히려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중국산 제품이 국내 수요를 대체하는 만큼 국내 철강 업계의 수익도 약화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대(對)중국 철강 수입은 2020년 66억7천만달러에서 지난해 103억7천만달러로 55.5% 뛰었다.
한국의 중국산 철강 수입은 2021∼2024년 4년 연속으로 100억달러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한 철강 업계 관계자는 통화에서 "국내 후판 수요량은 지난해 처음으로 800만t이 깨져 780만t가량으로 집계됐다"며 "후판을 비롯해 국내 수요량은 점점 줄어드는데 중국산 수입만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도 국내 철강업계의 반덤핑 피해를 구제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는 모습이다.
그간 반덤핑 관세가 보호무역주의 조치로 간주할 수 있고, 민감한 외교적 사안까지 얽혀 있어 정부가 이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데 부담을 느껴온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중국산 저가 제품의 과잉 공급이 갈수록 심화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전방위적 고율 관세 조치가 잇따르면서 정부 역시 보다 적극적인 대응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산업부 무역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미국 신행정부에서 관세장벽을 많이 올리다보니 글로벌 무역장벽이 두터워져 한국으로 밀어내기 수출이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저가 덤핑 수입품은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상 허용하지 않는 불공정 무역행위이기 때문에 (업계의) 조사 신청이 들어오면 정부가 엄정한 절차에 따라 판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