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대전 초등생 살해자 진단명 반복 언급은 편견만 키워"
기사 작성일 : 2025-02-12 15:00:36

눈이 내려 쌓인 추모객들의 마음


(대전= 강수환 기자 = 대전 초등학생 김하늘 양 피살사건이 발생한 대전 서구의 한 초등학교 정문에 12일 오전 시민들이 붙여놓은 쪽지와 꽃, 인형, 선물들이 가득 차 있다. 2025.2.12

성서호 기자 =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은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가해자의 질병명이 언론을 통해 반복 노출되는 것을 두고 편견만을 키울 뿐이라며 자제를 요청했다.

지원단은 12일 낸 성명에서 "최근 발생한 초등학생 피살 사건은 모두에게 큰 충격과 깊은 슬픔을 안겨주고 있다"며 "피해 어린이와 유가족분들께 깊은 애도의 마음을 표한다"고 했다.

지원단은 범죄 행동은 철저한 수사를 통해 죗값을 치르게 해야 하고, 다시는 이런 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가해자의 병명이 사건의 원인인 것처럼 노출되는 것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이 단체는 "특정 진단명의 반복 언급은 편견만 가중할 뿐"이라며 "사실에 기반을 두고 사건의 사회구조적 요인과 개선 방안에 집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해당 사건을 보도하는 언론에는 "충격적인 사건이 또 다른 편견과 혐오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신건강 보도 권고 기준을 확인하고 반영하고자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지원단은 "누구보다 큰 충격을 받았을 유가족분들과 같은 학교의 학생들, 교사분들을 포함해 고통을 겪고 계신 모든 분을 위한 심리적 지원도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원단은 정신건강복지법에 따라 보건복지부 장관 소속으로 설치돼 정신건강 증진 사업 등에 관한 자문·지원 기능을 맡는다.

지원단은 지난해 11월 ▲ 기사 제목에 정신질환 관련 언급을 지양할 것 ▲ 정신질환을 범죄 동기·원인과 연관시키는 데 극히 신중할 것 등 정신건강 보도 관련 권고 기준을 설정했다.

앞서 지난 10일 오후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40대 교사가 8살 김하늘 양을 살해하고 자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교사는 경찰 진술을 통해 2018년부터 우울증 치료를 받았다고 밝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