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기재부 예산실장 "딥시크 충격은 기회…R&D 적극 지원"
기사 작성일 : 2025-02-12 18:00:16

김동일 기재부 예산실장


[ 자료사진]

(세종= 이대희 기자 = 기획재정부 김동일 예산실장은 12일 "딥시크 충격 등 메가 트렌드 변화로 글로벌 기술패권이 재편되는 변곡점에서 연구 자율성·창의성을 보장하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이날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선도형 연구개발(R&D) 성과확산 콘퍼런스' 환영사에서 "추격자 위치에서 벗어나 선도형 R&D로 도전과 혁신이 기회의 문을 여는 열쇠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장에서도 '원팀'으로 발맞춰 혁신과 도전적인 연구개발을 지속해 달라"고 덧붙였다.

류광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도 "딥시크의 자체 인공지능(AI) 개발은 제한된 환경에서 도전을 통해 성과를 이뤄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며 "선도형 R&D로 나아가야 할 이유를 명확히 보여준다"고 했다.

이어 "정부는 연구자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새로운 길을 개척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미래세대가 차세대 리더로써 거듭날 수 있도록 최고급 인재 양성과 연구환경 개선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병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은 "기술경쟁 주도권을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개척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과학 기술계가 원팀으로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이날 콘퍼런스는 선도형 R&D 전환 노력의 성과를 되짚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관계부처와 학계·민간 등 각계 전문가 300여명이 참석했다.

기재부 강윤진 경제예산심의관은 추격형 R&D 체계를 선도형으로 전환하기 위해 미래 도전형 R&D, 글로벌 플래그십 R&D 확대 등 R&D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도형으로 재편해 나갈 계획을 밝혔다.

특히, 3대 게임 체인저(AI 반도체, 첨단 바이오, 양자) 투자를 대폭 확대해 글로벌 3대 강국(G3) 도약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과기부는 올해 역대 최고 수준인 2조3천400억원 규모의 기초연구 예산을 배정해 선도형 기초연구로 전환하도록 시스템을 개편한다고 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역시 역대 최고 수준인 5조7천억원 규모의 예산으로 초격차·혁신도전, 디지털(AX)·친환경(GX) 전환, 공급망 안정 등 분야에 집중투자 하겠다고 했다.

보건복지부는 유전자 세포·치료, 데이터·AI 활용 보건의료기술 개발 투자 강화, 혁신적 연구 생태계 조성을 위해 의사과학자 등 인재 양성, 지역 거점 의료기관 중심의 R&D를 추진할 계획을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연구현장의 생생한 의견을 바탕으로 연구개발 정책을 보완해나갈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산업계, 과학기술계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선도형 R&D를 위한 민관 원팀 체계를 공고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