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제주 금성호 침몰 한 달…실종자 수색·사고원인 규명 지지부진
기사 작성일 : 2024-12-06 11:01:19

금성호 실종자 수색작업 하는 해경


(제주= 부산 선적 대형 선망 금성호(129t) 침몰사고 닷새째인 지난 11월 13일 오전 제주 비양도 북서쪽 22㎞ 사고해역에서 해경 등이 실종자 수색작업을 하고 있다. [ 자료사진]

(제주= 변지철 기자 = 지난달 8일 제주 해상에서 발생한 135금성호 침몰 사고 실종자 수색이 한 달이 돼 가지만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제주해경과 제주도는 해상과 육상수색에 투입된 인력과 장비 규모를 점차 줄이고 있어 실종자 수색은 더 장기화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 선적 129t급 대형 선망 어선 135금성호는 지난 11월 8일 오전 4시 31분께 제주 비양도 북서쪽 약 22㎞ 해상에서 배가 기울고 있다는 신고 후 완전히 침몰했다.

이 사고로 승선원 27명(한국인 16명, 인도네시아인 11명) 중 한국인 선원 4명이 숨졌고, 한국인 선원 8명과 인도네시아인 선원 2명 등 10명이 실종 상태다.

해경은 25일간의 집중수색을 마무리하고 지난 2일 야간수색부터는 '지속적 광범위 수색'으로 전환해 실종자 수색을 이어오고 있다. 지속적 광범위 수색은 집중수색보다 투입되는 인원과 장비 규모를 줄이고 경비함정의 경우 평상시 임무수행과 실종자 수색을 병행한다는 의미다.

또 제주도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오는 7일부터 육상 수색방식을 '일상조업 병행 수색'으로 전환한다. 해안가 수색에 투입된 군, 경찰 등이 철수하고 대신 어민과 바다환경지킴이 등이 일반 활동을 하면서 육상 수색을 병행하는 형태다.


금성호 실종자 구조작업 준비하는 민간업체 관계자들


(제주= 부산 선적 대형 선망 금성호(129t) 침몰 사고 닷새째인 지난 11월 13일 오후 제주 비양도 북서쪽 22㎞ 사고해역에 도착한 민간 구조업체 바지에서 관계자들이 구조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 자료사진]

사고 발생 이후 현재(5일 오후 4시 기준)까지 해상수색에 동원된 함선과 어선은 누적 810척(해경 함정 505척, 군 69척, 관공선 162척, 민간 어선 74척), 항공기 138대다.

육상 해안가 수색에는 총 1만482명의 인원이 투입돼 광범위한 수색을 펼쳤다.

하지만 애타는 실종자 가족의 바람과 달리 지난달 10일 이후 추가 실종자 발견 소식은 들려오지 않고 있다.

사고 발생 한 달이 다 돼가도록 수심 90m 해저에 침몰한 금성호 선체에 진입조차 못 하는 실정이다.

수심 100m까지 잠수할 수 있는 민간구난업체 소속 심해잠수사들이 투입됐지만 제주의 변덕스러운 겨울 날씨 탓에 이들의 수색도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고 있다.

심해잠수사가 잠수하기 위해선 작업 수심까지 잠수했다가 상승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이송 장치와 고압 산소 치료 장비인 감압 체임버 등이 설치된 바지선이 완전히 고정돼야하는데 기상이 악화하면 바지선이 인근 애월항으로 대피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135금성호 선체와 연결된 길이 1천200m, 폭 100m에 달하는 방대한 그물이 선체진입을 방해하고, 심해 속 50㎝밖에 안 되는 좋지 않은 시정도 수색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금성호 실종자 수색 나선 심해잠수사


(제주= 지난 21일 오후 제주 비양도 해상에서 민간구난업체 소속 심해잠수사들이 135금성호 실종자 수중 수색을 마친 뒤 이송장비(LARS)를 타고 출수하고 있다. 2024.11.25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135금성호 사고 원인을 밝혀내기 위한 해경의 수사도 지지부진하다.

해경은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금성호와 함께 조업했던 선박과 출항지 인근 CC(폐쇄회로)TV 자료를 확보해 분석을 마쳤고, 부산에 있는 선사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선박 관리와 관련한 서류 등을 확보해 조사하고 있다.

그런데도 현재까지 뚜렷한 성과는 없다.

선내 구조물의 불법 증·개축 여부 등 선체 복원성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관리 부실이 있었는지 여부는 지금까지 발견하지 못했다.

해경 관계자는 "수중에 침몰한 선체를 인양해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한 상황이라 수사에 어려움이 있다"며 "현재로서는 사고 당시 해상기상이 양호했던 것으로 보아 금성호는 그물을 끌어올리는 양망 과정에서 평소보다 많은 어획물로 인해 우측으로 기울어져 전복돼 침몰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침몰한 135금성호 선체를 인양하는 것 역시 만만치 않은 일이다.

겨울철 기상 여건이 좋지 않은 데다 침몰한 해역의 물살이 세고 수심 90m 바닥에 가라앉아 있어 인양에는 고도의 전문기술이 필요하다.

전문 해난구조업체가 맡아야 하는데 그럴 경우 인양 비용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어선끼리 충돌해 침몰한 어선


[ 자료사진]

◇ 겨울철 제주 해양사고 가장 많아

제주의 경우 겨울철에 해양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6일 제주지방해양경찰청에 따르면 화재와 충돌, 침몰, 좌초, 전복, 침수 등 6대 해양사고 건수를 보면 2023년 겨울철(12월∼2월) 31건, 가을철(9∼11월) 26건, 봄철(3∼5월) 24건, 여름철(6∼8월) 19건 등이다.

2022년에는 겨울철 34건, 여름철 30건, 가을철 28건, 봄철 24건 순으로 겨울철에 해양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을 보면 전국적으로는 해양사고(2023년 기준)가 가을철에 921건으로 가장 많고, 겨울이 613건으로 가장 적다.


우리나라 2023년 계절별 해양사고 및 사망실종자 현황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 누리집 화면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하지만 사망실종자수는 같은 해 겨울철 31명, 가을철 30명, 여름철 18명, 봄철 15명 순이다.

겨울철에 사고 건수가 적어도 오히려 사망실종자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와 해경은 가을과 겨울철 수온이 낮고, 겨울철에는 해상기상이 더욱 나빠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인명피해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제주해경청 관계자는 "겨울철에는 해상상황이 수시로 급변하기 때문에 해양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어선 설비를 꼼꼼히 점검하고 구명조끼 착용, 어선위치발신장치 상시작동 여부, 기상상황 등을 반드시 확인하는 안전운항 실천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