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트럼프의 '약한 고리'…캐나다 원유에만 25%→10% 관세 수위조절
기사 작성일 : 2025-02-02 13:00:5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자료사진]

고동욱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에 부과한 '관세 폭탄'에 일종의 '열외' 품목이 있다.

원유 등 캐나다산 에너지에만 25%가 아닌 10%의 '낮은' 관세를 부과한 것이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캐나다산 원유에 대해서는 '수위 조절'을 할 수밖에 없는 배경에 미국의 경제적 구조와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맥락 등이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은 세계 최대의 원유 생산국이지만 실제 에너지 산업 생태계가 자급자족할 수 있는 구조로 짜여 있지는 않다.

오히려 미국의 정유시설은 다양한 종류의 원유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석유업계와 에너지정보국 등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 처리되는 전체 원유의 약 40%가 해외에서 수입되고, 캐나다산은 수입 원유의 약 60%를 차지한다. 반면 멕시코산 원유의 비중은 7%에 불과하다.

캐나다산 원유에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경우 고스란히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이다. 에너지 가격은 기업과 가계 등 경제주체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유가 정보업체 OPIS는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산 원유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미국 중서부 지역의 유가가 15∼20센트(약 200∼300원)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1일 기준으로 미국의 휘발유 평균 가격은 갤런당 3.10달러(약 4천520원) 수준이다.

에너지 산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중요한 정치적 지지 기반이기도 하다.

지난해 대선에서 석유·가스 기업들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7천500만 달러(약 1천90억원)를 기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파리기후변화협정 탈퇴와 화석연료 확대 등 업계에 친화적인 정책을 내놓으며 공생 관계를 형성했다.

그러나 관세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과 에너지 업계의 이해가 충돌하는 지점에 있다.

미국 연료 및 석유화학 제조업 협회의 쳇 톰슨 대표는 1일 성명을 내고 "소비자들이 충격을 실감하기 전에 원유와 정유, 석유화학 제품에서 관세가 사라질 수 있도록 북미의 이웃이 조속히 합의하길 희망한다"고 우려를 표시하기도 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