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주택건설실적
[국토교통부 제공]
박초롱 기자 = 주택 공급 부족에 따른 시장 불안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공공부문이 지난해 공급 물량을 힘겹게 떠받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공공의 주택 인허가 물량은 전년보다 66% 늘었지만, 민간부문 인허가는 15% 줄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와 공사비 인상 등으로 민간 건설사들의 체력이 여전히 좋지 않은 상황에서 공공이 이끄는 주택 공급은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올해 공공주택을 역대 최대 규모인 25만2천가구 공급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가 5일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누계 주택 인허가는 42만8천244가구로 전년보다 0.1%(500가구) 줄었다.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기는 했으나 2018∼2022년 5년 평균치인 51만3천가구에는 한참 못 미친다.
인허가 물량이 그나마 유지된 것은 공공부문 인허가가 2023년 7만7천891가구에서 12만9천47가구로 65.7% 늘었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민간부문 인허가 물량은 35만853가구에서 29만9천197가구로 14.7% 감소했다.
작년에는 수도권 인허가(21만2천776가구)가 16.7% 증가했지만, 비수도권(17만8천147가구)은 8.8% 감소했다.
아파트 인허가는 39만923가구로 3.5% 늘었다.
반면 비아파트 인허가는 전년보다 27% 감소한 3만7천321가구에 불과했다.
서울 주택단지
김인철 기자 = 사진은 2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와 빌라 모습. 2025.2.2
지난해 연간 주택 착공은 30만5천331가구로, 전년(24만2천188가구)보다 26.1% 증가했다.
인허가와 마찬가지로 공공부문 착공이 5만5천670가구로 전년(1만7천504가구)보다 3배 이상 늘었다.
민간부문 착공(24만9천661가구)은 11% 증가했다.
아파트 착공(27만1천514가구)이 36.0% 증가했으나 비아파트 착공(3만3천817가구)은 20.6% 줄었다.
지난해 연간 분양은 23만1천48가구로, 전년보다 20.1% 증가했다.
수도권 분양은 12만9천346가구로 13.5%, 지방은 10만1천702가구로 29.7% 늘었다.
지난해 연간 준공(입주) 물량은 44만9천835가구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3.2% 증가한 수치다.
아파트가 40만7천534가구로 전체 준공 주택의 90.1%를 차지한다. 비아파트 준공은 4만2천301가구로 전년보다 35.6% 감소했다.
지난해 1∼12월 주택 매매거래는 64만2천576건으로 전년보다 15.8% 늘었다.
다만 월간 주택 매매거래는 줄어드는 추세다.
12월 한 달 전국의 주택 매매거래는 4만5천921건으로 전월보다 6.5% 감소했다.
서울의 주택 매매거래는 6천444가구로 5달 연속 줄었다. 이 중 아파트 매매거래가 3천656가구로 전월보다 3.1% 감소하며 두 달 째 3천가구대로 내려 앉았다.
지난해 연간 전월세 거래는 266만2천177건으로 전년보다 2.0% 감소했다.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은 57.6%로, 전년보다 2.7%포인트 증가했다.
전국 주택거래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