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인구절벽 극복하자" 충북 지자체들 임신·출산 인프라 확충한다
기사 작성일 : 2025-02-06 09:00:35

(청주= 김형우 기자 = 저출생 등 여파로 나날이 인구가 줄고 있는 충북 지자체들이 앞다퉈 임신·출산 시설 확충에 나서고 있다.


아기의 모습


[ 자료사진]

충주시는 임신과 출산, 보육을 통합으로 지원하는 모자보건센터 설립을 올해 본격 추진한다.

시는 분만산부인과와 난임 클리닉, 소아청소년과를 갖추고 여기에 산후조리원, 보육센터 기능 등을 갖춘 연면적 3천960㎡ 규모의 모자보건센터를 지을 예정이다.

내년 1월 착공을 목표로, 오는 4월까지 사업 부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충주 7개 산부인과 중 분만이 가능한 곳은 2곳뿐이며, 산후조리 시설의 경우 1곳만 운영 중이다.

이웃 도시인 제천에는 올해 6∼7월 중 모자동실 13실, 신생아실, 프로그램실을 갖춘 2층 규모(1천375㎡)의 공공산후조리원이 들어선다.

인구절벽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충북 최초의 공공산후조리원으로 이용가격도 저렴하다.


도내 최초의 공공산후조리원


[제천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산모 1명(신생아 1명 포함) 기준으로 일반실 기본요금은 하루 13만5천720원, 특실은 15만원이다.

제천에서 5개월 이상 거주한 산모와 자녀를 2명 이상 출산한 산모 등은 요금의 50%만 내면 되고, 도내에 5개월 이상 거주 중인 산모는 15% 감면 혜택을 받는다.

음성군도 금왕읍 무극지구 내 4천59㎡ 터에 공공산후조리원과 육아 돌봄센터, 어린이건강체험관 등의 공공시설 조성을 계획 중이다.

머지않은 장래 지역소멸을 걱정하는 단양군은 산부인과를 갖춘 보건의료원을 지난해 7월부터 운영하는 등 아이를 낳아 기를 수 있는 인프라 개선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올해부터는 지역에 주소를 둔 임신부 및 출산 가정을 대상으로 주 1회 4시간씩의 가사도우미를 지원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충주시 관계자는 6일 "민간 의료기관들은 인력 및 시설 유지 등 운영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게 사실"이라며 "지자체가 나서 열악한 모자보건 의료환경을 개선하려는 것은 지역에서 자라날 아이들과 미래를 위한 투자"라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