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트럼프발 무차별 '관세 폭탄' 현실화…K-철강부터 직격탄
기사 작성일 : 2025-02-11 13:00:23

장하나 이슬기 홍규빈 강태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국가와 품목을 가리지 않고 확대되면서 한국도 직접적인 영향권에 든 모습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의 관세 부과를 공식화한 데 이어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도 검토 중이라고 밝히면서 제조업 중심 수출국인 한국 경제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11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예고한 대로 10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하면서 국내 철강 업계는 깊은 고민에 빠졌다.

아직 관세의 부과 방식이나 법적 근거 등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관세 부과 결정 자체가 글로벌 철강 업계에 미치는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국내 철강 업계도 연쇄적으로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번 관세 부과 조치가 무관세 쿼터제를 적용받고 있는 한국에도 동일하게 적용될지는 아직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업계 안팎에서는 현재의 쿼터 물량 263만t에 추가 관세가 부과되는 방안을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로 보고 있다.

앞서 트럼프 1기 행정부는 2018년 무역확장법 232조를 철강에 적용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전 세계 철강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했으나, 한국은 협상을 거쳐 263만t까지 무관세 쿼터를 적용받아 왔다.

로이터 통신은 이번 결정에 대해 "캐나다, 브라질, 멕시코, 한국 등으로부터 무관세로 미국에 들어오던 수백만t의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해서도 관세율이 25%로 올라갈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쿼터 물량은 그대로 살아있는 상황에서 25% 관세까지 부과되는 것이 가장 나쁜 시나리오"라며 "미국의 구체적인 조치 내용을 모니터링하면서 향후에는 쿼터 이상으로 미국에 수출할 수 있는 물량을 확보하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발 관세 폭탄 (PG)


[윤해리 제작] 일러스트

이번 관세 조치가 공급 과잉과 글로벌 수요 감소로 침체를 거듭하는 철강 업계에 더 큰 시련으로 다가올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글로벌 최대 시장인 미국 시장에 접근하지 못하는 중국의 저가 철강 제품들이 유럽, 동남아 등 세계 각지로 쏟아져 나올 경우 한국산 철강 제품의 가격 경쟁력은 더욱 악화할 전망이다.

미국이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 내 생산시설만 수혜를 보게 될 가능성도 커졌다.

현재 현대제철이 미국 내 전기로 제철소 투자를 검토 중인 가운데 국내 철강사들의 해외 생산시설 이전 셈법도 복잡해질 전망이다.

국내 철강 업계는 트럼프발 관세 정책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면서도 대미 수출을 포함한 글로벌 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언급하기 조심스러워하는 분위기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관세 정책에 대해 모니터링 하는 중"이라고 말했고,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도 "관세 조치의 정확한 내용을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그래픽] 대미 철강·알루미늄 수출 상위국


김영은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철강 25% 관세가 1·2위 수출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미 CNBC 방송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NBC가 인용한 미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미 철강 수출액이 가장 많은 나라는 캐나다로 71억4천만 달러(23%)에 달했다. 대미 알루미늄 수출은 캐나다가 지난해 94억2천만 달러(54%)로 미국 전체 수입량의 과반을 차지했다.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이번 조치는 철강과 알루미늄을 많이 쓰는 자동차 업계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자동차 1대를 생산하는 데 철강 1t, 알루미늄 250㎏이 필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그룹의 경우 한국에서 생산된 철강과 알루미늄을 미국으로 들여와 북미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조지아주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중심으로 현지 생산량을 연간 118만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었던 현대차그룹으로서는 원가 부담이 늘어난 셈이다.

이호근 대덕대 교수는 "국내에서 철강을 수입해 미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경우 원가 상승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알루미늄은 자동차 경량화 추세로 그 수요가 지속해서 늘어날 전망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완성차업체뿐 아니라 부품업계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항구 전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원가 인상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품업계도 부담을 상당수 떠안을 수 있다"면서 "미래 투자 경쟁력뿐 아니라 자동차 생태계 전체가 취약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컨테이너 가득한 부산항 감만·신감만 부두


(부산= 강선배 기자 = 10일 부산항 감만·신감만 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25.2.10

가전업계도 냉장고와 세탁기 등을 만들 때 원자재에서 철강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고민이 큰 상태다.

현재 삼성전자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LG전자는 테네시주에 각각 가전 생산기지를 두고 있다.

트럼프 정부의 멕시코산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으로 미국 내 라인 확대 등을 검토하던 와중에 철강 관세 부과 조치까지 내려지며 셈법이 한층 복잡해졌다. 이에 가전업계는 미국산 강판 구매 등의 대응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반도체 관세도 검토 중이라고 밝힌 점도 업계의 긴장감을 더하는 요인이다.

김경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보편 관세는 모든 국가에 적용되는 거니까 상대적으로는 타격이 덜할 수 있겠지만, 무역확장법을 통해 한국만을 특정해 조치가 이뤄진다면 영향력이 상당히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SK(CG)


[TV 제공]

반도체 업계도 아직 구체적인 관세 부과 방침이 나오지는 않은 만큼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구체적으로 어떤 기준으로 어느 정도 세율로 관세가 부과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당장은 어떤 영향이 있을지 판단하기 어렵다"며 "후속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만약 실제로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반도체 기업들도 일부 부정적인 영향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장은 "당장 관세가 오르면 미국 시장의 반도체 수요가 줄어들 수 있다"며 "미국 내 메모리 제조공장을 짓는다고 해도 보조금이 예전처럼 나오지 않을 수 있어 기업의 셈법이 복잡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범용 메모리는 이미 중국 업체의 공급량 확대로 가격이 크게 떨어져 있고, 첨단 제품인 고대역폭 메모리(HBM)의 경우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전 세계 HBM 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어 생각보다 관세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는 "미국 빅테크들은 반드시 HBM이 필요한 상황이고, 삼성과 SK하이닉스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어 메모리 관세 영향은 생각보다 제한적일 수 있다"며 "이 같은 상황을 돌파하려면 빅테크와 협력이 특히 중요하고, 삼성의 경우 HBM 메모리 공급과 파운드리 수주를 받는 게 급선무"라고 짚었다.

김 단장은 "'관세 전쟁'으로 이어지면 반도체가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가전제품 등의 가격이 올라 미국 물가가 오를 수 있어 실제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에 관세를 부과할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