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中수출통제 본격화하나…"中업체, 리튬추출용 흡착제 수출 중단"(종합)
기사 작성일 : 2025-02-19 23:00:58

미중 무역전쟁.


[TV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봉석 기자 = 중국 업체가 전기차 배터리에 쓰이는 리튬 추출용 흡착제 수출을 중단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소식통과 입수한 관련 서류를 인용해 19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염수 등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흡착제를 생산하는 중국 장쑤주우하이테크는 지난 1일부터 자사 제품 수출을 중단한다고 고객사들에 지난달 통보했다.

장쑤주우와 또다른 흡착제 생산업체 썬레진은 리튬 관련 기술 수출 문제를 놓고 정부와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썬레진 회장은 약 한 달 전 해외 확장 계획에는 고객사에 기술을 이전하는 내용도 포함됐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은 세계 최대 리튬 추출용 흡착제 생산국이지만 정확한 점유율은 파악되지 않고 있다.

앞서 중국은 지난달 2일 배터리 부품 제조 및 희소금속 처리 관련 기술에 대한 수출 통제 추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가 수출 금지 또는 제한 대상 기술 목록 조정안을 발표하면서 배터리 양극재 제조 기술, 희소금속인 리튬·갈륨 추출을 위한 일부 기술 및 공정을 추가한 것이다.

상무부는 다만, 지난 1일까지 대중의 의견을 받는다고 밝혔을 뿐 기술 수출 통제가 언제부터 시행되는지는 밝히지 않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기술 수출 통제가 현 상황에서는 제안일 뿐이지만 이미 일부 국가로 수출을 제한하는 효과를 끼쳤다고 보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중국의 관련 업계 변호사는 "중국 상무부 관리들이 여러 회사를 방문해 수출 통제 문제에 대해 논의했으며, 한 회사에는 협상 중인 10억달러(약 1조4천400억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진행하지 말라고 경고했다"고 말했다.

로이터는 통제 조치가 실제로 시행되면 얼마나 엄격해질지는 불확실하지만, 추진 자체는 중국이 리튬 같은 광물 분야에서 지배력을 이용해 무역 전쟁을 벌이는 미국에 압력을 가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12월 발표한 중국의 대미 안티몬 수출 금지 조치는 이미 서방 자동차 시장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고 로이터는 덧붙였다.

중국은 이날 자국 희토류 산업 보호를 위한 조치 초안인 '희토류 채굴 및 희토류 제련·분리에 대한 총체적 관리방법', '희토류 제품 정보 추적 관리방법'에 대한 여론 수렴에도 들어갔다. 의견 접수 마감은 다음 달 21일이다.


미중갈등과 중국산 희토류 (PG)


[김민아 제작] 일러스트

이는 세계에서 갈수록 중요성이 커지는 희토류를 한층 엄격한 국가 통제 아래 두려는 중국 정부의 일련의 시도 가운데 가장 최근 조치라고 로이터통신은 짚었다.

중국은 그동안 세계 희토류 시장을 거의 독점해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