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기후도시 부산] ① 지속 가능한 친환경 글로벌 허브도시
기사 작성일 : 2024-12-07 09:00:31

[※ 편집자 주 = 글로벌 허브도시를 표방하는 부산시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소중립도시'를 비전으로 제시하고 다양한 친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부산시의 전략과 정책을 점검하는 '기후도시 부산' 기획 기사를 5차례에 걸쳐 송고합니다.]


탄소중립 (PG)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부산= 조정호 기자 = 부산은 올해 역대 가장 뜨거운 여름을 보냈다. 폭염은 9월까지 이어져 여름 같은 추석을 보내야 했다.

7일 부산시와 기상청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21년 부산의 평균 열대야 일수는 23.8일로 전국 평균 8.9일보다 높았다.

부산지역 열대야 발생 일수는 2010년과 2018년 각각 37일로 가장 많았는데 올해는 역대 최고인 55일로 늘어났다.

지난 7월 한 달 10일간 발생한 열대야는 8월에는 사흘을 제외하고 29일간 지속됐다. 9월에도 열대야는 16일간 이어졌다.

이상 기후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가을에 해당하는 9월 하순 극한 호우를 불러왔다.

지난 9월 21일 378.5㎜의 비가 부산에 퍼부었다. 1991년 8월 23일에 기록한 439㎜ 다음으로 많은 역대급 폭우였다.


물에 잠긴 부산 강서구 도로


(부산= 지난 9월 21일 오전 부산 강서구 지사동 일대 도로가 폭우로 인해 물에 잠겨 있다. 2024.9.21 [독자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이상 기후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국제사회는 인류를 위협하는 '기후변화'를 '기후위기'로 규정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2050년 탄소중립을 잇달아 선언했다.

우리나라는 2023년 4월 탄소중립 사회로 이행과 녹색성장을 위해 제1차 국가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부산시도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목표로 지난 4월 '제1차 부산광역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시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 아래 국가 탄소중립 기본계획과 지역적 특성을 반영해 부산만의 특화된 정책을 바탕으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5% 감축하겠다고 발표했다.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하기로 한 국가계획보다 부산시의 감축 계획이 더 도전적이다.


지구 온난화와 북극곰 (PG)


[양온하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기후 위기 없는 글로벌 허브 도시 부산'을 비전으로 제시한 '부산 탄소중립 기본계획'은 8개 부문 101개 과제로 나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나가겠다는 부문별 연도별 감축 정책으로 구성됐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건물, 수송, 농축수산, 폐기물, 수소, 흡수원,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국제감축 등 8개 부문으로 나눠 온실가스 감축 정책으로 추진한다.

기후변화 적응대책, 녹색기술 육성,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의로운 전환, 인력양성 등 부문별 정책이 종합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탄소감축 이행기반 정책을 수립했다.

세부적인 탄소감축 정책으로는 제로에너지 건축물 확산, 공공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사업, 친환경 차량(전기차, 수소차) 보급 확대, 대중교통 활성화, 농축산 스마트 생산기반 구축, 수소항만, 도시숲 및 바다숲 조성, 폐기물 재활용 및 매립 제로화 등이 있다.

부산시는 글로벌 허브도시를 실현하기 위해선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탄소중립도시로 변모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하고 4대 중점 과제를 추진한다.


탄소중립 녹석생정 부산 포럼


[부산시 제공]

'15분 공간 탄소중립 도시', '글로벌 수소경제 그린도시', '자원 재활용 메카도시', '기후위기 대응 글로벌 해양도시' 등은 부산만의 특화된 탄소중립 정책이다.

7년간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이행하는데 총 16조9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11조3천억원은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 대책에 사용되고, 1조1천억원은 기후변화 적응 대책에 사용된다.

부산시는 재정적 투자와 함께 민간 부문과 협력을 강화해 탄소중립 실현을 가속할 방침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기후위기는 우리 모두에게 닥친 현실이며,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부산이 탄소중립 도시로 변모하기 위해서는 시민 모두의 협력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 차원의 정책적 지원과 함께 민관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부산이 글로벌 녹색성장 모델 도시로 자리 잡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