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부과' 재확인에 하락 반전…S&P 0.5%↓(종합2보)
기사 작성일 : 2025-02-01 09:00:57

뉴욕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들


[AFP 자료사진]

(뉴욕= 이지헌 특파원 =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이 31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월 1일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관세 부과 방침을 강행할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뉴욕증시가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7.47포인트(-0.75%) 하락한 44,544.6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0.64포인트(-0.50%) 내린 6,040.5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54.31포인트(-0.28%) 하락한 19,627.44에 각각 마감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내일(2월1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중국에 대한 10% 관세 부과를 시작하리라는 것을 확인(confirm)한다"고 말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관세 부과 방침을 재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오후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취재진이 "중국, 캐나다, 멕시코가 내일(1일) 관세 시행을 막기 위해 오늘 밤에 할 수 있는 일이 있나"라고 묻자 "없다. 지금 당장 없다. 협상 도구는 없다"고 단호하게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의 관세 강행 입장 재확인 소식이 전해지면서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오후 들어 상승 폭을 반납하고 하락 반전했다.

에너지 메이저 엑손모빌과 셰브런은 이날 실망스러운 실적 발표에 각각 2.5% 4.6% 하락했다.

엔비디아는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발 충격 이후 변동성이 확대되며 이날 5.9% 하락했다.

지난 27일 하루 3.1% 급락했던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하락 폭을 만회해 이번주 통산 1.9% 하락하는 선에서 장을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이번 주 1.1% 하락했고, 다우지수는 이번 주 0.2% 상승 마감했다.

이날 발표된 지난해 12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은 2.6%로 3개월 연속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전문가 예상 수준에 부합하면서 시장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한편 채권 금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로 상승했다.

전자거래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55%로 하루 전 같은 시간 대비 3bp(1bp=0.01%포인트) 올랐다.

국제유가는 이날 약세를 보였다가 트럼프 대통령의 원유에 대한 관세 부과 발언에 반등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종가는 배럴당 72.53달러로 전장보다 20센트(-0.3%) 내렸다.

그러나 종가 산출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원유와 가스에 대한 관세를 2월 18일께 부과할 것 같다고 언급하면서 미 동부시간 오후 4시 59분 기준 전 거래일 종가 대비 1.08달러(1.5%) 상승한 배럴당 73.81달러로 반등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산 원유에 대한 관세를 10%로 낮춰 부과하겠다고 말했다. 관세 적용 방침을 재확인하되 세율을 낮춰 적용하겠다는 것이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캐나다산 원유의 관세 적용 여부에 대해 "관세를 부과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다"라고 말해 관세 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는 여지를 남긴 바 있다.

미 에너지정보청(EIA) 통계에 따르면 미국의 캐나다산 원유 수입량은 지난해 10월 기준 하루 460만 배럴에 달한다. 같은 기간 미국의 하루 원유 생산량 1천350만 배럴의 3분의 1에 달하는 규모다.

미국 중부 지역의 정유업체들은 텍사스산 경질유 대신 캐나다산 중질유를 주로 사용해왔으며, 캐나다산 원유에 관세 부과 시 휘발유 가격 인상 및 생산량 감소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돼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