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각국 '딥시크 차단'에도…中 "위법한 데이터수집 요구한적 없어"
기사 작성일 : 2025-02-06 17:00:57

딥시크


[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베이징= 정성조 특파원 = 한국·호주·일본·이탈리아 등 각국 정부와 기업들이 보안 우려 속에 중국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DeepSeek) 사용을 잇따라 금지·제한하는 가운데,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기업에 '위법한 데이터 수집'을 요구한 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6일 정례 브리핑에서 각국의 딥시크 제한 움직임에 관한 질의에 "우리는 관련 상황에 주목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궈 대변인은 "중국 정부는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고도로 중시하고 법에 따라 보호하고 있으며, 지금껏 기업 혹은 개인에 위법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수집·저장하라고 요구한 적도 없고 요구하지도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했다.

그는 "중국은 국가 안보 개념을 일반화하고 경제·무역 문제를 정치화하는 방식에 일관되게 반대해왔다"면서 "동시에 중국은 중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을 굳게 수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은 자국 정부·기업이 해외 각국의 제재·통제 조치에 직면할 때 '합법적 권익 수호'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자주 밝혀왔다. 이는 경우에 따라 보복 등 대응 조치에 나설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되기도 한다.

복수의 한국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한국 국방부·외교부·통일부·산업통상자원부·한국수력원자력 등 기관들은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한 상태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정부 부처들의 딥시크 접속 제한 조치는 범정부 차원에서 생성형 AI 사용 과정에서 민감한 업무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가운데 이뤄졌다.

한국뿐만 아니라 호주·일본·대만·미국 텍사스주 등은 정부 소유 기기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고 이탈리아는 아예 앱 마켓에서 전면 차단했다. 영국과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도 딥시크의 위험성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각국 기업과 금융기관들도 속속 딥시크 차단에 나서는 형국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