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한국산 철강, 美수입 4위…"加·멕시코 이어 韓 등 아시아 타격"
기사 작성일 : 2025-02-11 05:00:58

철강 압연공정


[AFP 자료사진]

(뉴욕= 이지헌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철강 25% 관세가 1·2위 수출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미 CNBC 방송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NBC가 인용한 미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미 철강 수출액이 가장 많은 나라는 캐나다로 71억4천만 달러(23%)에 달했다.

그 뒤로 멕시코(35억 달러·11%), 브라질(29억9천만 달러·9%), 한국(29억 달러·9%), 독일(19억 달러·6%), 일본(17억4천만 달러·5%) 등의 순으로 대미 철강 수출이 많았다.

대미 알루미늄 수출은 캐나다가 지난해 94억2천만 달러(54%)로 미국 전체 수입량의 과반을 차지했다.

그 뒤로 아랍에미리트(UAE)(9억2천만 달러·5%), 한국(7억8천만 달러·4%), 중국(7억7천만 달러·4%) 등의 순이었다.

모건스탠리 분석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 2023년 기준 전체 알루미늄 수요의 8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철강 대미 수출이 많다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관세가 발효될 경우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CNBC는 분석했다.

독일도 대미 철강 수출액이 많다는 점에서 관세 부과로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다만, 독일은 수출 품목이 자동차 등에 쓰이는 고품질 철강 제품 위주여서 관세 영향이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독일 철강업체 티센크루프 측은 해명했다.

한국, 베트남, 일본 등도 철강·알루미늄 관세로 타격이 예상되는 국가들이라고 CNBC는 분석했다.

특히 지난해 베트남과 대만의 대미 철강 수출액이 각각 전년 대비 140%, 75% 급증했다고 이 방송은 소개했다.

앞서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지난 2018년 무역확장법 232조를 철강에 적용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전 세계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당시 유럽연합(EU)은 미국산 오토바이와 청바지 등에 보복 관세를 부과했고, 결국 미국이 유럽산 철강에 관세 부과를 유예하고 일정 할당량을 초과하는 유럽산 철강 제품에만 관세를 부과하는 식으로 절충안이 마련됐다.

한국도 당시 협상을 거쳐 2015∼2017년 연평균 수출량(약 383만t)의 70% 수준인 263만t까지 무관세 쿼터(할당량)를 적용받았고, 이 체계는 지금껏 유지돼왔다.

한편 블룸버그는 "한국은 이미 대체 시장을 모색해 왔다"며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량은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관세 공세 이전인 2015∼2017년 연평균 수출량의 70% 수준에 머물러 있다"라고 소개했다.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전체 철강 수출액에서 미국 비중은 약 13% 수준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