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작년 '수출 톱10' 대기업 비중 36.6%…반도체 호황에 6년만 최대
기사 작성일 : 2025-02-12 13:00:17

'수출 대기 중'


(울산= 김용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데 이어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도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11일 오후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와 야적장에 완성차들이 대기하고 있다.

(세종= 박재현 기자 = 지난해 우리 기업의 수출액이 1년 전보다 8%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수출 호조세의 영향으로 대기업 수출이 큰 폭으로 늘면서 '수출 톱(TOP)10' 기업의 비중은 6년 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및 연간 기업 특성별 무역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액은 6천837억 달러로 1년 전보다 8.1% 증가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이 1년 전보다 11.6% 늘었고, 중소기업도 4.7% 증가했다. 중견기업은 0.7% 감소했다.

자동차와 석유화학 등에서 전년보다 수출이 줄었지만,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전자통신에서 수출이 크게 늘었다.

수출액 상위 10대 기업의 무역집중도는 36.6%로 전년보다 3.7%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2018년 37.8% 이후 6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수출액 상위 100대 기업의 무역집중도 또한 66.5%로 전년보다 1.8%p 상승했다. 2015년 66.5%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산업별 수출을 보면 전기·전자와 운송장비 등을 중심으로 광제조업 수출이 10.2% 증가했다.

도소매업은 1.8%, 기타 산업은 3.4% 각각 수출이 줄었다.

종사자 규모별로는 10∼249인(-1.2%)에서 수출이 줄었으나 1∼9인(8.1%), 250인 이상(10.3%)에서는 증가했다.

지난해 수입액은 6천321억달러로 1년 전보다 1.6% 감소했다.

대기업 수입은 2.7%, 중소기업 수입은 4.3% 각각 감소했고 중견기업 수입은 5.7% 증가했다.



[통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작년 4분기 수출액은 1천752억달러로 1년 전보다 4.2% 증가했다.

대기업이 5.0%, 중소기업이 5.9% 각각 수출액이 증가했다. 중견기업 수출액은 0.5% 줄었다.

수출액 상위 10대 기업의 무역 집중도는 38.1%로 2018년 3분기(39.4%) 이후 가장 높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