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트럼프 관세' 우려속 통상당국자 첫 방미…"우리기업 보호총력"
기사 작성일 : 2025-02-17 11:00:16

박종원 통상차관보


[촬영 황광모]

(세종= 차대운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에도 상호 관세 부과 등으로 무차별적 통상 압력을 가할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 정부 통상 당국자가 처음으로 미국을 방문해 공식 협의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박종원 통상차관보가 미국 워싱턴 DC로 출발해 현지에서 미국 행정부와 의회 주요 인사들을 면담한다고 밝혔다.

박 차관보는 미국이 4월 1일까지 검토한 뒤 시행하겠다는 상호 관세와 이미 시행 계획이 공개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등 문제를 포함한 한미 간 통상 현안과 경제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산업부는 전했다.

박 차관보는 미국 상무부, 미국무역대표부(USTR) 등 산업·무역 당국자들을 두루 접촉해 미국 측의 주된 관심 사항을 우선 파악할 계획이다. 또한 우리나라도 당장 영향권에 든 철강·알루미늄 관세와 관련해서는 한국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전달할 계획이다.

아울러 박 차관보는 한국 기업들이 대미 투자 사업을 원활하게 이행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일관된 정책 환경을 조성해주기를 미국 당국에 당부할 방침이다.

박 차관보는 이번 방미 기간 미국 주요 싱크탱크 및 이해관계자를 만나 미국 정부 정책의 동향을 파악하고 공조 가능한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달 취임 직후부터 대중국 10% 추과 관세 부과, 수입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 무역수지 적자국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상호 관세 부과 등 방침을 잇따라 밝혔다.


트럼프발 관세 폭탄 (PG)


[윤해리 제작] 일러스트

여기에 한국의 양대 수출품인 반도체와 자동차를 대상으로 한 관세 부과 의지도 여러 차례 피력했다.

이번 접촉에서 트럼프 신정부가 통상 문제와 관련해 한국에 가진 인식을 확인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여 미국의 '대한국 청구서' 윤곽이 나온다면 향후 대미 통상 대응 방향을 잡아나가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으로서는 관세 문제와 별개로 반도체·이차전지 등 분야의 한국 기업이 바이든 행정부 시절 반도체과학법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인을 통해 대규모 대미 투자를 단행한 상황에서 장기 투자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반도체 투자 보조금과 IRA 생산 세액공제(AMPC) 실질적 유지도 절실하다.

박 차관보는 "미국 정부의 잇따른 무역·통상 조치 발표로 인해 정책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우리 기업의 이익 보호를 위해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