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질병휴직' 초중고 교사 연간 2천명…심리치료 3년새 5배 늘어
기사 작성일 : 2025-02-17 12:00:36

일주일 만에 등교 재개하는 대전 초등학생


(대전= 강수환 기자 = 대전 초등생 故김하늘 양 피살사건 이후 긴급 휴교령을 내렸던 서구 한 초등학교가 17일 오전 7일 만에 등교를 재개하고 있다. 이날 이 학교 1학년생이 등교하고 있다. 2025.2.17

(세종= 고상민 기자 = 대전 초등생 피살 사건으로 정신질환 교사의 휴·복직 관리 체계를 뜯어고쳐야 한다는 여론이 거센 가운데 질병휴직을 사용하는 전국 초중고 정규교사가 연간 2천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7일 교육부가 국회 교육위원회에 제출한 '초중등 교원 질병휴직 현황'에 따르면 휴직 시작일이 2023년 4월 2일부터 2024년 4월 1일까지인 전국 초중고 정규교사는 모두 1천973명이었다.

초등학교 교사가 1천272명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교사는 412명, 고교 교사는 289명이었다.

질병휴직 교사 규모는 최근 4년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직 시작일 기준 2019년∼2020년 1천528명이었던 질병휴직 교사는 2020년∼2021년 1천182명으로 소폭 줄었으나 2021년∼2022년 1천313명, 2022년∼2023년 1천447명으로 상승 곡선을 그렸다. 2023년∼2024년에는 1천973명으로 대폭 뛰었다.

2천명에 가까운 질병휴직 교사에는 육체 질환자도 포함돼 우울증 등 정신질환에 따른 휴직자 규모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교육부는 정신질환 등은 민감한 개인정보인 만큼 정신·육체 질환 휴직자를 별도 분리해 관리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시도교육청별로 운영 중인 교육활동보호센터의 상담 및 심리치료 건수도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활동보호센터는 교육활동 침해로 피해를 겪은 교원과 업무 스트레스로 지친 교원에게 상담과 심리치료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교육활동보호센터의 상담 건수는 2020년 7천936건에서 2021년 1만3천621건, 2022년 1만9천799건, 2023년 3만4천66건으로 3년 만에 4배 넘게 뛰었다.

2024년은 3월부터 8월까지만 집계된 상태인데 5개월 동안만 무려 2만2천510건의 상담이 진행됐다.

심리치료 건수도 기하급수적 증가세를 보였다.

2020년 1천498명에서 2021년 1천791건, 2022년 2천165건, 2023년 7천502건으로 3년 새 5배가 됐다. 2024년(3월∼8월)은 3천999명이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