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친환경 경제활동' 중소·중견 대출받기 쉽게 보증 지원
기사 작성일 : 2025-02-05 11:00:39


작년 8월 23일 김완섭 환경부 장관이 23일 인천 서구 창업·벤처 녹색융합클러스터를 방문해 녹색산업분야 창업기업의 파일럿·테스트 설비를 살펴보고 있다. [환경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재영 기자 = 정부가 정한 '친환경 경제활동'을 하는 중소·중견기업이 대출받기 쉽도록 보증을 지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는 5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녹색산업 보증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 포함되는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녹색기술·환경산업 중소·중견기업에 연내 2천800억원 규모의 보증(녹색기술혁신보증)을 지원한다. 녹색분류체계는 정부가 정한 친환경 경제활동 목록이다.

국내 기후테크 벤처캐피탈(VC) 규모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0.003%로 10대 선도국 평균(0.019%)에 크게 못 미치는 가운데 녹색산업 기업이 자금을 확보할 방안이 대출밖에 없으나 이조차도 잘 이뤄지지 않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다.

재작년 환경부 미래환경산업육성융자 대출액 기준 녹색산업 중소·중견기업의 은행 여신심사 탈락률은 35%에 달했다.

정부는 또 녹색기술혁신보증 보증 비율을 일반 보증보다 10%포인트 높은 95%로 설정했다. 기업이 100억원을 대출받을 때 기술보증기금·신용보증기금 등 보증기관이 95억원까지 보증을 선다는 의미다.

일반 보증은 평균 1.1%인 보증료는 은행과 협약을 통해 기업이 부담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보증기관 몫 보증료(0.4%포인트)는 감면하고 은행 몫(0.7%포인트)은 2년간 지원하는 방식이다.

사업 구조를 저탄소화하거나 기술 혁신·사업화로 외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한 중소·중견기업, 신재생에너지 발전·산업을 영위하는 중소·중견기업에는 올해 1조2천억원 규모의 보증을 지원한다.

이 지원 사업은 '기후대응보증'이라는 이름으로 그간 금융위원회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실시해왔는데 올해부터 환경부가 넘겨받아 담당한다.

저탄소·고효율 설비 개발·생산 등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보증을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아울러 보증기관이 가진 기업 정보 등을 활용해 중견·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녹색산업 기업을 선정해 '녹색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