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gital

뉴질랜드, 자치령 쿡제도 총리 방중에 발끈…"우리와 협의해야"
기사 작성일 : 2025-02-06 13:00:58

마크 브라운 쿡 제도 총리


[로이터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자카르타= 박의래 특파원 = 뉴질랜드 자치령으로 자유연합 관계를 맺고 있는 쿡 제도 총리가 뉴질랜드와 협의 없이 내주 중국을 방문해 중국과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할 것으로 알려지자 뉴질랜드 정부가 비판하고 나섰다.

6일(현지시간) 라디오 뉴질랜드(RNZ) 등에 따르면 마크 브라운 쿡 제도 총리는 이날 성명을 통해 내주 쿡 제도 대표단을 이끌고 중국을 방문할 계획이며 중국과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을 위한 공동 행동 계획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브라운 총리는 "이번 방문은 우리의 주권과 국익을 최우선으로 유지하면서 경제 기회를 확대하는 데 목적이 있다"며 "외교 정책에 대한 우리의 접근 방식은 분명하다. 우리는 국민을 위해 최선의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 공개적이고 투명하게 진행한다"고 말했다.

브라운 총리는 중국과 체결하려는 파트너십의 주요 내용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현지 언론은 중국이 솔로몬제도나 키리바시와 맺은 치안·안보 협정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은 2022년 솔로몬제도와 치안 지원은 물론 유사시 군대도 파견할 수 있는 안보 협정을 체결했고, 키리바시와도 필요시 치안력을 제공하는 내용의 협정을 맺었다.

중국이 태평양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자 미국과 호주, 뉴질랜드 등은 크게 우려하며 이를 경계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뉴질랜드 자치령인 쿡 제도가 뉴질랜드와 제대로 된 협의 없이 이런 행동에 나서자 뉴질랜드는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뉴질랜드 외교부는 성명을 통해 "쿡 제도와 뉴질랜드 정부 간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여러 문제가 있다"며 "쿡 제도가 다른 나라와 맺으려는 정책 및 파트너십은 투명성이 결여돼 있고 뉴질랜드 더 넓게는 태평양 국가들에 중대한 안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쿡 제도가 주요 국제 협정에 대해 뉴질랜드 정부와 충분히 협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쿡 제도는 뉴질랜드에 속해 있었지만 1965년 자치령이 돼 뉴질랜드와 자유연합협정을 맺었다.

이에 따라 쿡 제도는 자체 입법권과 행정권이 있다. 또 뉴질랜드는 외교와 재해, 국방 등의 문제에서 쿡 제도를 지원하게 돼 있고, 쿡 제도 시민들은 뉴질랜드 시민으로 뉴질랜드 여권을 사용한다.

하지만 최근 쿡 제도는 친중 정책을 펼치며 뉴질랜드로부터 멀어지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지난해에는 뉴질랜드에 자체 여권과 시민권 발급 권한을 달라고 요청했고, 뉴질랜드는 국민 투표를 통해 완전한 독립을 결정해야 가능하다며 거부한 바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