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신화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샌프란시스코= 김태종 특파원 = 미국과 중국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기술 기업들이 생산 기지를 중국 이외 지역으로 이전하는 움직임을 가속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최근 수년간 다국적 기업들은 중국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중국 기반 공급업체를 다른 국가의 공급업체로 보완하는 이른바 '차이나 플러스 원'(China Plus 1) 전략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제는 아예 공장을 중국 이외 지역으로 이전하는 '중국 말고 어디든'(Anything But China·ABC)이라는 'ABC'가 새로운 원칙이 되고 있다고 WSJ은 진단했다.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중국의 봉쇄 조치로 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서구 기업들은 생산 기지를 중국에서 베트남이나 인도로 대거 이전하기 시작했다.
이후 첨단 기술의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경쟁은 이런 흐름을 더 강화했고,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 복귀하면서 중국에서 벗어나 공급망을 다변화하라는 압박이 증가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모든 중국 수입품에 10% 관세를 추가로 부과했고 중국도 이에 맞대응하는 등 무역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앞서 기업들이 제품 조립만 중국 이외 지역으로 이전했던 것과 달리 현재는 센서와 인쇄 회로 기판, 전력 전자 장치와 같은 부품을 만드는 공장도 이전하고 있다.
특히, 'ABC' 추세는 미-중 간 기술 갈등의 핵심인 반도체와 관련된 제품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 2년간 미국은 중국이 최첨단 칩과 장비에 접근하는 것을 금지했고, 이에 중국은 자체 칩 개발을 추진해왔다.
중국은 이전에는 세계 서버 생산의 가장 큰 허브 중 하나였지만, 미국이 2022년 10월 인공지능(AI)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한 이후 AI 서버는 멕시코와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점점 더 많이 조립되고 있다.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와 공급업체들도 중국 의존도를 줄여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와 램 리서치는 지난해 미 정부의 압력으로 중국 기업을 공급망에서 제외했고, 반도체 생산 전력 시스템을 만드는 어드밴스트 에너지는 오는 7월까지 중국의 마지막 공장을 폐쇄할 예정이다.
기업들의 중국 '엑소더스'는 스마트폰에서 노트북에 이르기까지 소비자 기기 전반에 걸쳐 일어나고 있다.
중국 주재 미국상공회의소의 연례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360명 중 30%는 생산 기지 이전을 고려하거나 이미 시작했다고 했고, 기술 및 연구 개발 기업의 약 4분의 1은 공급망을 이전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서구 기술 기업들이 최첨단 칩, AI 서버, 소비자 기기의 생산과 조립을 이전하면서 동남아시아가 호황을 누리고 있다.
2023년 동남아시아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는 2천300억 달러로 2018년 1천550억 달러에서 70% 증가했다.
칩 제조업체 인텔, 인피니온, 마이크론은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고 노트북 제조업체 HP는 지난 3년간 조립 기지에 태국을 추가했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지난해 반도체, 컴퓨터 및 기타 전자 제품 수출액이 사상 최대인 1천370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3년 기준 중국은 전 세계 거의 모든 노트북 컴퓨터를 생산했지만, 올해는 비중이 80%로 줄어들고, 베트남과 태국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베트남의 경우 엔비디아가 지난해 12월 연구 개발 센터 설립을 발표했다.
고급 칩을 설계하는 마벨은 지난 1년간 베트남에서 엔지니어 인력을 300명에서 약 470명으로 증원했고, 향후 수년간 매년 20%씩 인력을 늘릴 예정이다.
많은 중국 기업도 서구 고객들의 요청에 따라 해외로 진출하고 있다.
중국의 데이터 센터용 광 트랜시버 제조업체인 에오프토링크는 해외 고객에 대한 공급을 늘리고 미·중 긴장의 여파를 피하기 위해 태국 공장을 확장했으며, 노트북 컴퓨터, 태양광 패널 및 산업 기계용 납땜 재료를 생산하는 바이탈 신소재는 동남아시아와 멕시코에 자회사를 설립했다.
기업들이 탈중국을 가속화하고 있지만, 중국의 인프라와 공급업체, 노동 생태계를 따라잡을 수 있는 국가는 아직 없다는 평가도 나온다.
시장조사기관 IDC 분석가 마리오 모랄레스는 "장기적으로 새로운 생산 라인을 만드는 것은 더 비싸고 위험해질 수 있다"며 "중국에서 철수할 경우 공급업체에 최대 15%의 비용이 더 들 수 있다"고 추정했다.
그는 이어 "중국 제조업을 이기기는 어렵다"며 "비용, 생산량, 납기 면에서 그들을 능가할 수 없다"고 말했다.